-
소득에 따라 쓰레기 배출량은 어떻게 다를까요?
이 자료는 2017년 서울의 지역내총생산 지수에 대비해 각 자치구별로 1인당 지역내총생산의 수준차이에 따라 2018년 1인당 생활폐기물이 어떻게 다르게 배출됐는지를 정리한 그래프입니다. (쉽게 이야기드리면, 생산수준에 따라 생활폐기물 배출량의 차이가 어느만큼인지 보여드리는 겁니다.)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갈 수록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수가 높은 자치구여요. 이름만 보더라도 흔히 ‘잘 산다’고 하는 곳인건 아시겠지요? (여기서 종로구와 중구는 인구는 적고 기업이 많아서 […]
-
복지정책, 이렇게 바뀌었으면 좋겠다.
저는 정책을 연구하는 연구자는 아닙니다. ‘가난한’이라는 처지의 변화를 추적하는 사람이죠. 그래서 정책에 대해 뚜렷한 상을 그릴 수는 없습니다. 그렇기에 제가 조사를 하며 접했던 ‘사회복지제도’에 대한 아쉬움, 그리고 이에 대한 나름의 의견을 전해드릴게요. 첫째, ‘일한 댓가로서의 복지’에 대해 다시 고민하면 좋겠어요. 해방 후부터 지금까지 국가는 가난은 개인의 탓이며, 국가가 제공하는 ‘기회’를 통해 정상적인 국민으로 변신하라고 요구해왔어요. […]
-
“왜 윤영자는 사투리를 쓰는가, 표준어를 쓰지 않는가”에 대하여
제가 만나 온 노인층 가운데서 여성노인들은 사투리(고향말)를 교정하지 않는 분들이 꽤 계셨어요. 이걸 어떻게 이해해야 할까싶었는데, 주변의 젊은 또래들을 보다 깨달았죠. 방법을 찾았어요. 지금의 젊은 세대는 서울로 이주하면 사투리(고향말)를 교정하길 원하고 노력하죠. 비서울 출신이라는 꼬리표를 떼야 한다는 생각을 갖기 쉬운 사회구조니까요. “그래야만” 이익이라 말하곤 하는데, 제게는 서울로 대변되는 “정상성”을 획득하는 행위로 보였어요. 표준어를 ‘스펙’으로 여기니까요. […]
-
“가난의 문법”
푸른숲, 2020년 11월 30일, 1쇄 펴냄. _______, 2020년 12월 21일, 2쇄 펴냄. _______, 2020년 12월 22일, 3쇄 펴냄. _______, 2021년 1월 7일, 4쇄 펴냄. _______, 2021년 2월 17일, 5쇄 펴냄. Facebook Page 도시백과도감Instagram 도시백과도감 책 소개 “한국사회에서 가난의 모습은 늘 변해왔다. 전쟁이 끝난 후 갈 곳 없는 고아의 모습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온 달동네의 모습과 IMF […]
-
경향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책’ 열 권, “가난의 문법”
코로나19로 당연하게 여겼던 일상이 무너졌습니다. 그럼에도 치열한 방역 현장에서, 삶을 지탱하려 애쓰는 일터에서, 도움을 뻗는 연대의 손길에서 희망을 보기도 했습니다. 어쩌면 책은 우리가 일상을 유지하고 있다는 가장 큰 신호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책의 ‘쓸모’를 귀하게 여긴 독자들 덕분에 올해 책 판매가 예년보다 크게 늘었다는 소식이 전해졌습니다. 2020년을 떠올리는 단초가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올해 경향신문 ‘책과삶’ 등을 […]
-
[인터뷰] “국가는 ‘자격으로서의 가난’에만 관심이 있다”
기자: 김원진날짜: 2020년 12월 30일.장소: 정동 경향신문사.게재: <주간경향> 1411호 (2021년 1월 11일 발행) ㆍ한국사회 빈곤 다룬 책 낸 신명호 소장과 소준철 연구원 가난이 정쟁의 도구로 쓰이고 혐오의 대상이 될 때, 가난과 빈곤을 사려 깊게 들여다보는 책이 나왔다. 신명호 사회투자지원재단 사회적경제연구센터 소장과 소준철 도시사회학 연구자(청계천기술문화연구실 연구원)는 올 하반기 한국사회 빈곤을 다룬 책을 냈다. 가난·빈곤을 통계 너머로 다룬 […]
-
[인터뷰] 가난한 노인에게 야광조끼만 주는 사회
기자: 차형석날짜: 2021년 1월 15일.장소: 중림동 시사인 회의실. 게재: <시사IN> 694호(2021년 1월 5일 발행) . 도시 연구자 소준철씨(37)는 최근 〈가난의 문법〉(푸른숲)이라는 제목의 책을 냈다. ‘폐지 줍는 여성 노인’을 다룬 단행본은 이 책이 처음이다. 소씨가 ‘재활용품 수집 노인의 일과 삶’에 관한 현장 연구를 하게 된 건 2015년 3월 어느 날의 경험 때문이다. 마을버스를 타고 서울 가양역 […]
-
[기고] 가난을 선별하지 말라
진실의 힘 뉴스레터, 2021년 1월 19일. 얼마 전 사회에 제출한 『가난의 문법』은 다음의 문장으로 시작한다. “한국사회에서 가난의 모습은 늘 변해왔다.” 반면에 가난이라는 현상에서 변하지 않은 것도 있다. 바로 국가의 자세다. 해방 후부터 지금까지 국가는 가난은 개인의 탓이며, 국가가 제공하는 ‘기회’를 통해 정상적인 국민으로 변신하라고 요구했다. 대개는 국가가 제시한 갱생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해서 일한 만큼 돈을 […]
-
[단행본] 책이 곧 나옵니다.
도시백과도감을 운영하는 소준철입니다.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재활용품 수집 노인을 만나며 기록하고 생각한 것들을 정리한 책을 출판하게 되었습니다. 제목은 <가난의 문법>입니다. 재활용품 수집 노인을 통해 차상위 계층 노인의 삶이 무엇에 의해 위계화되어 있는지 정리하는 시도입니다. 푸른숲의 편집인들, 디자이너들과 함께 하고 있으며, 11월 30일, 다음 월요일에 출간될 예정입니다. 그간 응원해주시고 조언해주신 여러 선생님과 동료와 친구 모두에게 감사의 마음을 […]
-
질문과 반성: 청계천-을지로 상가를 생각하며
이 자료는 (북성로) 글자풍경 전시의 연계 워크숍인 “‘북디자인 열린 책상 워크숍’ 1회 – 북성로 ‘두껍게’ 바라보기”에서 발표한 내용 중 일부입니다. 제조업 제조업이란 무엇인가? 제조업 상가란 무엇인가? 청계천(과 북성로)의 제일의 역할은 제조업이다. 이 제조업의 사전적 정의란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사업”이다. 그 역할을 다시 적으면, 청계천은 (어떤)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사업을 하는 사업가와 사업체가 모인 장소이며, 이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