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보고서] 소준철·서종건(2015),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일과 삶』, 서울연구원.
http://wp.me/p72mJ4-rv
2015/3/9: 첫 번째 질문
지금 시의적인 연구 혹은 자료가 무얼까? 이야기를 남기지 않는 사람들 중에서도 누구의 이야기를 들어야할까?라며 중얼거리며 거리를 걷고 있었다. 그 와중에 계속해서 시야에 들어오는 이들이 있다. 길 위의 노인들, 도시의 노인들이다. (사실 농촌과 시골의 소작하는 노인들에 비해 더 열악한지는 모른다.. 도시에 있기에 상대적으로 빈곤해보이는지도.. 그러나 도시의 성장 속에 그들은 만원짜리 한 두 장에 삶이 흔들거린다.) 그들에게 남은 꿈은 무얼까..(손자손녀들을 키우는 꿈, 잘 죽었으면 하는 꿈일까.. 어떤 죽음을 바라는가.. 어떤 꿈을 /어쩌다/ 갖게 되었나..)
그들과 그녀들을 위해서 뛰어난 정책을 마련할 수는 없고, 그들과 그녀들을 가난으로부터 구제할 수 없을 가능성이 높다. 그럼에도 그들의 삶이, 혹은 그들을 바라보는 차가운 혹은 동정어린 눈빛은 무언지 적어놓는 건 필요하지 않을까..(연구는 한계적이다, 다만 0-과거, 1- 현재, 2-미래 라는 축과 그들의 시선과 주변의 /개략적인/ 시선을 포착함으로 경고 혹은 회의라도 주어줄 수 있다면 일말의 가치는 있지 않을까..)
0- 흔하지만 괴로운 수사인 가난의 뿌리는 대체 뭐란 말인가. 빈민의 뿌리는 무척 깊다. (가난의 끝? 몸으로 하는 노동에 일종의 단계? 뭐 그런게 있다면 노인의 폐지와 고물줍기는 어느 장도의 노동일까? 바보같은 질문이니.. 사실 단계가 아니라 취할 수 있는 유일한 통로일지도.. 때때로 괴로운 도시의 단면일지도.. 커다란 국제 행사장 주변에 그 노인이 고물을 줍는다면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했을까? 부끄러움이 아닐까? 쓸데없는 부끄러움, 그 부끄러움이 더 부끄러운 짓인데.)
1- 현재의 정치는 그들을 바라보지 않는다. 마치 사설 구빈원(?)처럼 주변의 비공식적 지원이나 자선으로 가끔의 지원을 받는다. 실상 사회복지직 공무원의 처지는 도시락 체크나 하는 도시의 관료에 처해있으며, 구빈이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도적 지원과 시장의 지원/?/ 현황) 질문? 그들의 사정이 정책적으로 반영되지 않는건지, 그들이 자발적으로 정책 바깥으로 뛰쳐나간건지 궁금해졌다. 우리가 좋아하는 마을도 어찌할 수 없는다. 도시의 노인들에 대한 이야기가 필요하지 않을까.
2- 꿈이라는게 뭘까, 주변이 생각하는 그들과 그녀들의 꿈(공무원, 대중들)이 정책으로 반영될텐데, 그들과 그녀들의 꿈과 얼마나 같고 다를까? 사실 역사사회학하겠다는 입장에서, 빈궁한 곳간을 채우겠다며 지원사업에 지원해보겠다는 심보로 머리를 굴린게다. 쭉 이어 나갈 자신은 없지만… 그래도 정말이지 감춰지고, 외면하는 이들의 목소리를 남겨와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구술작업이라는게 언제나 역사적 사건의 피해자만을 가리켜야 하는 건 아니라 생각하기에, 사실 그들과 그녀들은 도시가 만든 피해자는 아닐까..
– 노인들의 이동 거리
– 노인들의 하루 벌이 (문맹 혹은 문맹이 아닌지)
– 돈은 어디에다 맡기는가?
– 벌면 어디에다 쓰는건가요?
– 어떤 종류의 고물들을 모으는지?
– 고물을 모으는 노하우(?)
– 모은 고물은 어디로 가져갑니까?
– 식사는 무얼 드시는지?
2015/4/21
중간 발표
소준철 _ 폐지수집 노인의 삶과 일
2015/6/29: 동네, 고시원, 가구골목, 술집, 여관, 희한한 공간.
고시원에 다녀왔다.
2015/7/23: 새벽 2시.
2015/8/12: 관찰의 일부.
연령은 70대 초반
2015/9/10: 어설픈 자료로 보고회에 가다.
2015/11/1: 어떻게 정리할 것인가.
첫째, 문전수거 방식 배출 쓰레기 수집
둘째, 상업지구의 쓰레기 수집
셋째, 재활용정거장의 쓰레기 수집
넷째, 분리수거망에서의 쓰레기 수집 .
다섯째, 댓가로서의 쓰레기 수집
여섯째, 지역주민들의 도움으로 쓰레기 수집
결과물 일부
최종 결과물 미간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