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우주 개발과 우주 쓰레기
한국일보 2022년 7월 9일hankookilbo.com/News/Read/A2022062014140001460 지난달 21일 누리호가 목적한 최종 궤도에 진입함으로써 한국은 11번째 자력 우주로켓 발사국이 됐다. 또 1톤 이상의 실용 위성을 궤도에 안착시킬 수 있는 7개 국가 중 하나가 됐다. 동시에 실용 위성에서 발생하는 우주 쓰레기를 직접 생산하는 7개 국가 중 하나가 됐다고도 볼 수 있다. 2020년, 인공우주물체에 대한 정보를 관리하는 스페이스트랙(space-track.org)은 어떤 국가가 우주 […]
-
[4] ‘줍깅’의 두 유형
한국일보 2022년 6월 11일https://hankookilbo.com/News/Read/A2022060313580000596 50년 전의 경고 1970년대는 환경 문제에 대한 위기감이 고조되던 시기였다. 선진국은 산업의 발전과 이로 인한 환경 문제를 인식하였고, 환경 보호의 필요성을 자각했다. 잘 알려진 건 1972년 로마클럽이 낸 <성장의 한계> 보고서와 MIT의 미래예측모델 ‘월드 원’을 통한 예측이다. 주된 내용은 2020년에는 삶의 질이 악화되고, 2040년에는 문명생활이 무너질 수도 있다는 경고였다. 2021년 6월, […]
-
[3] 연탄재라는 새로운 쓰레기
한국일보 2022년 5월 14일https://m.hankookilbo.com/News/Read/A2022050916340005134 연탄이 한국 사회에 보급된 건 1950년대 후반이다. 연탄의 보급은 산림 황폐화를 해결한 중요한 전환점이었다. 1950년대 중반만 하더라도 가정과 상점에서 연료로 나무 장작을 썼다. 서울의 경우, 청량리역 근처에 강원도에서 채취해 온 나무 장작 집하장이 있었고, 소매상들이 장작을 사다가 대중에게 팔았다. 이 장작의 일부는 정부 허가를 받지 않은 이들이 트럭을 동원해 아무 산이나 […]
-
[2] 넝마주이라는 문제적 인간들
한국일보 2022년 4월 16일 https://hankookilbo.com/News/Read/A2022040814390001551 1961년 7월 1일, 서울시청 앞 광장에 800명이 넘는 남성들이 도열했다. 그들 앞에는 야트막한 단상이 있었고, 단상의 왼쪽엔 공무원, 오른쪽엔 경찰이 앉았다. 서울시장 윤태일은 단상 위에 올라 격려사를 시작했다. “자랑스런 일꾼으로서 국가사회에 이바지하려고 일어선 제군들의 앞날을 축하한다”며, 이들을 범죄로부터 보호하겠다고 했다. 이어 그 자리에 모인 남성 중 한 명이 단상 앞에 […]
-
[1] 난지도 매립지의 시작
한국일보 2022년 3월 19일 게재 https://hankookilbo.com/News/Read/A2022031413540000192 1977년 8월 3일. 서울시는 지금의 상암동 자리에 있는 난지도를 쓰레기 처분장으로 쓰겠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난지도와 인근 샛강이 포함됐고, 전체 면적은 87만 평으로 여의도만 했다. 난지도의 쓰레기장화는 꽤 큰 충격이었다. 당시만 해도 난지도는 ‘제2의 여의도’가 될 것이란 기대로 가득했기 때문이다. 여의도 개발과 영동(강남) 개발, 그다음은 한강 서쪽의 난지도가 유력하게 거론됐다. […]
-
소득에 따라 쓰레기 배출량은 어떻게 다를까요?
이 자료는 2017년 서울의 지역내총생산 지수에 대비해 각 자치구별로 1인당 지역내총생산의 수준차이에 따라 2018년 1인당 생활폐기물이 어떻게 다르게 배출됐는지를 정리한 그래프입니다. (쉽게 이야기드리면, 생산수준에 따라 생활폐기물 배출량의 차이가 어느만큼인지 보여드리는 겁니다.) 왼쪽에서 오른쪽까지 갈 수록 1인당 지역내총생산 지수가 높은 자치구여요. 이름만 보더라도 흔히 ‘잘 산다’고 하는 곳인건 아시겠지요? (여기서 종로구와 중구는 인구는 적고 기업이 많아서 […]
-
1983년 난지도 풍경
#1 이 사진은 1983년 8월 전, 난지도 매립지 내 주거지역 풍경. 드디어 확보.몇 가지 자료를 조합하면, 당시 난지도의 쓰레기처리 과정과 주민들의 생태를 정리할 수 있겠다. 강남개발과 그 배후의 난지도라는 연결 역시 중요한 분석 지점이다. 이제 이 이전의 청계천으로 출발. 가장 문제는 1960년 초의 청계천과 그 인근이다. 1960년대 후반에서 1970년대의 성동 지역 부근 청계천은 어느만큼 자료가 […]
-
2022/2 재활용과 쓰레기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이 글은 걷고싶은도시만들기시민연대의 온라인소식지 “도시연서 20/2“에 실렸습니다. 코로나 바이러스의 전염 가능성이 문제가 되는 요즘이다. 가급적 집 바깥에 나가는 일을 줄이고, 사람들과의 대면 접촉을 가급적 없애는 건 개인적(이자 사회적인) 미션이 됐다. 온라인에서 장을 보고, 음식을 배달시켜 먹는 일이 잦아졌다. 덕분에 집안 분리수거통이 다른 때보다도 빨리 찼다. 쓰레기를 쳐다보다 재활용과 쓰레기에 관한 몇 가지 소식을 찾아 보았다. […]
-
해방 후 오물의 처리: 비료화, 병인화, 하수처리화
들어가며 오물의 문제는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과업이다. 쓰레기와 똥오줌의 수거·처분이란 시 당국이 개입할 ‘행정’의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직접적인 수거란 종이 몇 장으로 요약되는 ‘개요’와는 다르다. 당국이 고용한 청소부와 계약·관리하는 민간업자가 끊임없이 대로의 쓰레기를 수거·처분해야 한다. 모든 일을 다 알 수는 없을지라도, 당국은 수거·처리 과정을 계획하고, 감시하고 통제할 방안을 마련한다. 분명, 여기에는 도시 기반시설을 설치하는 비시장적 개입 […]
-
이유, “소각의 여왕”(2015)
소설 속에서 치워 낸 열두 사람의 흔적. “시체에서 나오는 분비물과 냄새만 없애는 게 아니었다. 무너진 사람들의 잔해를 치우는 일이기도 했다(174쪽).” 심사평에서 은희경이 제기한 한 표현이 눈에 띈다, “지옥도에서 색을 뺀 덕분에”라는. 일상생활이랄까, 누구도 어쩔 수 없는 필연이 만들어 낸 , 비루한 일상생활을 해석해내는 처지란 대개는 이 색을 뺀 지옥도를 그려내는 일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