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성문] 나는 아카이브(즈)가 미워요
이 글은 정재완(2020), <북성로 글자 풍경>에 실렸습니다. 우리는 현장에서 만나는 것을 ‘레디메이드’로 생각한다. 현장에서의 쓸모를 넘어 현장을 대표하는 오브제로 이해한다. 예를 들면, 개조한 작은 도구를 보며 장인의 몸과 하나인 기술 자체로 과장해 이해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이 이해는 기록과 수집의 기준이 되기도 하며, 아카이빙의 계기가 된다. 아카이빙의 실재와 그 결과엔 어떤 의미가 있을까? 의미있는 물건을 […]
-
(지루하고 힘빠지는) 아카이브즈 이용기
학교 근처의 모 기록관. 공문을 보내면 수수료를 감면해 준대서 공문을 보냈더니, 딴 담당자가 전화해서는 “기관 대 기관의 공문이라 신청한 자료에 대해서만 무료로 열람이 가능하다”더라. 그래서 나는 “박사논문을 쓰는 중이고, 읽을 자료를 그걸로 한정할 수는 없다.”고 받아쳤다. 한참의 갑론을박이 이어졌고, (이, 피곤해, 왜 이렇게 가르치려 드는건지) 내가 그저 수수료 감면을 받으려고 이 공문을 보냈다는 걸 자각한 […]
-
아카이브즈 이용기
공공아카이브’즈'(인지 아카이브’즈’인지, 국(/시)립문서보관서인지… 여튼 국가기록원, 대통령기록관, 서울기록원 등)에 정보공개요청을 통해 특정 부처가 생산한 기록물 목록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유의해야 하는 건, 보고계통을 이해하고 기록물 목록을 확보해야 한다는 점이다. 즉, 보고계통에 있어서의 하위 기관보다는 가급적 상위 기관의 목록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왜냐하면 보고계통의 하위에 위치한 과/계의 기록물에서는 기록원(기록관)의 보존대상(영구/반영구 등)에 포함된 경우가 적기 때문이다. 사법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