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과 반성: 청계천-을지로 상가를 생각하며
이 자료는 (북성로) 글자풍경 전시의 연계 워크숍인 “‘북디자인 열린 책상 워크숍’ 1회 – 북성로 ‘두껍게’ 바라보기”에서 발표한 내용 중 일부입니다. 제조업 제조업이란 무엇인가? 제조업 상가란 무엇인가? 청계천(과 북성로)의 제일의 역할은 제조업이다. 이 제조업의 사전적 정의란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사업”이다. 그 역할을 다시 적으면, 청계천은 (어떤)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사업을 하는 사업가와 사업체가 모인 장소이며, 이를 […]
-
해방 이후 ‘기술’과 ‘기술자’, ‘기술훈련’에 대한 기초적 정리
홍성주, 2010; 장미현, 2016. 1. 개념사적인 접근 가능성: ‘기술’-‘인력’, 그리고 물자 ” 기술이란 단어의 용법에서 현재와 과거 사이의 간극이 있다. 1960년대 ‘기술’이란 용어가 기술인 력, 기술자, 또는 기술계 인적자원을 가리켰다. 여기에는 한국사회에서 사용가능한 기술자원이 기술 인력 뿐이며, 한미 간에 교류한 기술자원 역시 인력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반면에 물적 기술자원 을 두고 ‘물자’라고 표기해왔지, 기술자원으로 인식하지 않았다” […]
-
20190510 제품 X의 탄생, 청계천 일대 제조과정 추적기 [발표문]
발표 슬라이드 보기 (PDF) [발표문 전문] 안녕하세요, 제품 X의 탄생, 청계천 일대 제조과정 추적기를 발표하러 온 도시상공업연구자네트워크 연구원 소준철입니다. 우선 양해 말씀을 구해야겠습니다. 자료집에 실린 부제는 “산업생태계 추적기”입니다만, 실제 발표는 “제조과정 추적기”로 제목이 변경되었습니다. 단 두 달의 조사로 산업생태계를 운운할 수 없다는 판단이 들어 변경한 점,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이번 발표는 서울시립대학교 세운캠퍼스 ‘디지털 트윈’ 사업의 […]
-
[커리큘럼] 들여와 베끼고 고쳐 쓴 기술과 행위의 역사
청계천 복제기술문화사 연구모임 작성일: 2018/11/11 작성자: ㅅㅈㅊ 들여와 베끼고 고쳐 쓴 기술과 행위의 역사 00 방향 정하기 청계천 복제 기술문화사 연구모임의 첫 모임은 아래의 글을 읽고 토론하고 ‘첫번째 판 읽을거리‘를 검토하면서 앞으로 어떻게 모임을 운영하면서 함께 공부하고 조사·연구할지 방향을 잡는 자리입니다. 읽을거리: Choi, H. (2017). The Social Construction of Imported Technologies: Reflections on the Social History […]
-
[기고] 도시의 새 시장, 슈퍼마케트
사실상 슈퍼마케트가 상징하는 유통의 근대화란 유통의 대량화를 전제로 한 시도로서, 이후 제조업과 중산층의 성장을 배경으로 ‘고급한 상업구조’를 구축하는 기초 중 하나였다.
-
식물도감: 시적 증거와 플로라 (-3/19)
국립현대미술관 서울관, “식물도감: 시적 증거와 플로라” (-3/19) 단상들: 문명의 표준, 작동 방식의 일례 #0 서구 제국이 제작한 문명, 특히나 근대 문명은 표준화를 수행한다. 도시는 단연 만들어 것들 가운데 기준의 역할을 한다. 도시는 채집된 것을 분류하고, 표준적인 정보로 내보낸다. 대상은 식생하거나 인공적인 모든 것. 식물 역시 현지에서 채집되어 도시지식인들에 의해 분류에 처해진다. 도시지식인들의 채집 도구는 대량 […]
-
고현학과 산책자
세계의 문학의 작품이나 해석에 있어서 보편적 경험은 없다. 사실상 우리에게 익숙한 문학적 논쟁들은 “서구적 전통에 의해서 형성된 문화적 반응”에 불과하며, 보편적이라고 여겨온 것은 맥락의 분별없이 남용한 것으로 보아도 될 정도로 많다(권은, 2013, 11). 박태원은 작품에 대한 해석에 있어서 근·현대 문학에서 문제시 되는 작가다. 더군다나 보들레르 읽는 법을 통해 벤야민이 제시한 “산책자(flaneur)”라는 개념은 박태원을 이해하는 주요한 […]
-
“일상생활의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아래 자료에 대한 요약과 정리 (2015년 3월 5일 작성) 박재환(1994/2010), 「일상생활에 대한 사회학적 조명」, 『일상생활의 사회학』, 한울아카데미: 21-43. ___(2008), 「일상생활의 사회학이란 무엇인가」, 『일상생활의 사회학적 이해』, 도서출판 한울: 23-46. 1. 일상생활 사회학의 의미 일상생활(日常生活)이란 말은 낯선 언어가 아니다. 예를 들어 “조종사 야구단, 실버 축구단, 일상생활에 ‘활력 비타민’”이나 “라식/라섹 수술 후 빠르게 일상생활 복귀할 순 없을까?”나 “에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