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제복지원의 공간 변화에 대한 소설적 상상
형제복지원은 1976년 정부의 사용승인 하에 주례동으로 이전했다. 형제복지원은 산을 개간하고, 그 자리에 60개 동의 건물을 건설하겠다 공포했다. 박인근의 사촌동생이 기술자이자 중간관리자로 나섰고, 수용자 70여 명이 동원됐다. 1년 후인 1977년 1월의 자료를 살펴 보면, 수용자들은 산의 개간은 물론이고, “흙-블록과 가시오나무에 슬레이트 지붕으로 된” 건물 23개동을 만들었다. 원장인 박인근은 이를 두고, “고귀한 자원 노역”에 의해 이룩된 것이라 […]
-
[기고] 거지말, 암호 그리고 궂긴 도시생활
『걷고싶은도시』94호(2018 봄호)에 기고한 글입니다. 이 글은 웹에서의 가독성을 위해 각주를 제거한 상태이니, 더 정확히 읽고 싶은 분은 위 링크를 눌러 pdf로 읽어주세요 들어가며 “종소리울린다삼천만일어서라 / 썩은것때묻은것샅샅이불살라서 / 바르고새로운것하나하나고쳐가는 / 슬기로운사자들의엄숙한얼굴위에 / 아밝아오는희망의아침 / 동포여뭉쳐라 / 혁명의이념아래아밝아오는희망의아침 / 동포여뭉쳐라 / 혁명의이념아래” – <재건의노래> 1969년, 소설가 이호철은 「중앙일보」에 기고한 글에서 “서울은 현대도시의 외모를 갖추면서 사실은 공포의 지대로 […]
-
[기고] 조선족 동포 생활공간의 형성과 변화
2017년 12월 4일 10시, 『걷고싶은도시』 편집위원 소준철이 「한중포커스신문」 문현택 대표를 만났습니다. 문현택 대표는 흑룡강출신으로 연길에 살다가 1994년, 한국에 왔습니다. 1997년에서 2001년까지 산자교회의 김해성목사와 함께 이주노동자운동에 참여했습니다. 현재는 조선족 동포 사회의 언론인으로 활발히 활동하고 있습니다. 문현택 대표를 만나 시기별 조선족 동포의 생활공간 형성과 궤적을 추적했고, 재구성하여 ‘이야기체’로 옮겼습니다. 무엇보다 1980년대의 ‘친척초청’을 통한 방문 이야기와 1990년대초의 ‘성남’에 대한 이야기는 찬찬히 톺아가며 읽어주시길 부탁드립니다.
-
자본론 가운데
여기저기서 주워 온 『자본』에 대한 정리 『자본』1권의 제1판 서문을 살펴보자. 맑스는 『자본』을 “자본주의적 생산양식kapitalistische Produktionsweise과 그 양식에 상응하는 생산관계Produktionsverhältnisse 그리고 교환관계Verkehsverhältnisse”를 알아보겠다는 야심으로 구상하였다. 특히, 1권은 자본주의적 생산의 자연법칙 혹은 자본주의적 생산과정, 2권을 통해 “자본의 유통과정Zirkulationsprozess des Kapitals과 총과정의 형태Gestaltungen des Gesammtprozesses를, 그리고 마지막 3권은 학설사Geschichte der Theorie를 다루려 하였다.” 1권은 자본주의의 생산과정을 말하고 있다. […]
-
“실천을 위한 이론”을 만든 3년: 방황하는 맑스의 저 갈 길 만들기
홉스봄은 맑시즘적 사회주의의 원천을 프랑스 사회주의, 독일 철학, 영국 정치경제학에서 왔다는 의견을 밝힌다(홉스봄, 1993/1982: 176쪽). 이를 원천으로 삼아, 이전의 사회주의자들과 달리 다음 세 가지의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 첫째,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포괄적이며 사회를 결정하는 근본적인 관계의 분석에 기초를 둔 비판을 전개하였다. 둘째, 사회주의를 진화적인 역사로 상정한 후 분석하였다. 셋째, 낡은 사회에서 새로운 사회로 이행하는 양식에 […]
-
국가를 파악하는 ‘효과’(effect)라는 길
한석정의 『만주국 건국의 재해석: 괴뢰국의 국가효과, 1932-1936』(동아대학교 출판부. 1999) 가운데 일부를 정리한 글임. 들어가면서 국가라는 개념을 정확히 무어라고 정의할 수 있을까. (그리고 국가라는 개념에 대해 어쩌다 의문을 제기하였을까?) 한석정(1999)은 “국가와 그 상대개념인 사회간의 구분을 전제로(한석정, 28쪽)” 하는데 대하여 의문을 제기한다. ‘국가―사회’라는 대응항의 각 항목을 명확히 규정하기 힘들다. 근 이십여년 간 한국에서 지속적으로 제기한 “시민사회”와 그곳에서 시도하는 […]
-
집합의식과 이에 대한 대립: 범죄와 형벌을 통하여
준철 어느 동일한 사회에 있는 평균적인 구성원들이 공통적인 믿음 그리고 감정을 갖고 있다고 가정해보자. 이때 이 공통의 것들이 ‘총체’를 이룬다. 이때, 나름의 삶을 갖는 이 확정적인 체계(총체)에 대해 집합의식 또는 공동의식이라 부른다. 이 집합의식이란 고유한 기관을 가지고 있지 않았으나, 그 성격은 사회의 구석구석에 광범위하게 확산되어 있다. 집합의식은 분명히 구분된 실체처럼 나름대로의 고유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
-
용산역 앞의 브로커: 1960-1970년대 쌀유통을 중심으로
[연구계획서] 박사포차 1.연구 목적 및 필요성 이 연구는 1960-1970년대에 “서울에의 쌀의 관문”으로 불렸던 용산역 하차장 부근에서 쌀의 유통에 개입한 “쌀 브로커”를 연구대상으로 한다. 브로커(Broker)란 “구입 혹은 판매를 중개하고 수수료를 받는 업자”를 말하는데, “쌀 브로커”란 당시에 용산역을 통해 서울로 들어오는 쌀의 구입 혹은 판매를 중개한 업자를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서울이란 공간은 자급자족이 힘든 도시로써, 쌀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