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평] 또 하나의 빈자리를 보라
읽은 책: 조한혜정 외, 『노오력의 배신』, 창비, 2016. 게재: “또 하나의 빈자리를 보라“, 2016년 6월 13일, 『동국대학원신문』. IMF 위기가 몰아치던 시기, 중학생인 나와 친구들의 교실에는 침묵이 가득하였다. 누군가는 원조교제를 이유로 제적당하고, 또 다른 누군가는 부모와 함께 야반도주하여 사라졌다. 소문도 없이 사람이 사라지는 교실에는 항상 빈자리가 있었다. 시간이 지나 힘겹게 고등학생이 되었다. 수업시간이 끝나면 야자가 시작하는, […]
-
[서평] 기록과 ‘소설들’을 포개어 서울을 다시 읽기
읽은 책: 송은영(2018), “서울 탄생기“, 푸른역사. “서울은 중요한 텍스트의 배경이었고, 동시에 중요한 텍스트 그 자체였다. 더구나 서울에서의 정치적 사건이나 물리적 공간의 변화를 ‘관찰’하고 ‘정리’하며 도시의 맥락이 그려지지만, 동시에 개인의 ‘체험’과 ‘기억’을 통한 여러 해석이 엇갈리고 합쳐지며 또 다른 맥락이 만들어졌다. 여러 소설가뿐만 아니라 이 시대의 음악가들이 만든 도시의 새 의미다. 그렇기에 이제는 객관과 권위로만 서울을이해할 […]
-
[서평] ‘강남화’라는 방법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읽은 책: 박배균 외(2017), “강남만들기, 강남따라잡기“, 동녘. “앞에서 정리한 지은이들 각각의 발견은 ‘강남’을 읽고 이해하는 방법의 전환점이기도 하다. 다음에서는 지은이들의 방법을 (1) 도시개발의 원리, (2) 도시 내부의 배치, (3)정체성의 이식과 영향으로 정리하고 이에 대한 가능성을상상하고, 나름의 제언으로 (4) 미시적인 접근에 대한 고려를 당부하겠다.” 서평 읽기 DOI : 10.22345/kjuh.2019.10.22.187
-
친구들을 위한 세운상가 관련 서울기록원 공개 문건의 의미와 ‘위치’ 설명 혹은 추정
서울기록원이 공개한 이 자료는 세운상가 등의 청계천-을지로 개발사의 초기문서로 너비 50m 도로 계획을 상업지/주거지로 전환시킨 계기를 제공한 행정문서로 추정된다. 이 구상은 (문제가 되는 무허가주택 철거방법과 주거지/상업지 개발이라는) 행정적 방향을 제공했고, 이러한 행정 위에서 서울시와 민간건설사가 얽혀 만들어진 건축물이 세운상가다. 1) 손정목의 설명을 이해해야 한다. 해당 문서가 생산되기 전인 1952년 서울시는 소개공지를 도로로 만들겠다는 공표를 했다. […]
-
1시 서울역 앞 풍경
#1 택시를 기다리는 사람들이 많다. 삼십여명 이상으로 보인다. 줄이 길다. 택시 승강장에 들어오는 택시가 없다. 어떤 아저씨들이 줄 선 사람들에게 와 “어디에 가”라거나 “어느 방향이세요” 혹은 “부천, 인천 가실 분”이라 말을 건다. 택시 호객꾼은 맨첫번째 횡당보도에서 택시 대기줄 사이를 오간다.흥정을 하고, 여기에 응한 사람들은 근처에 세워진 합승차에 타거나, 빈차 표시등을 끈 택시에 가서 탄다. 물론 […]
-
어느 날의 서울, 충무로에서 종로2가까지
삼일빌딩. 70년대의 랜드마크. 이상의 날개 주인공이 관찰하는 공간, 박태원 천변풍경에 나오는 민주사가 첩과 딴 살림을 차린 곳 근방. 해방 후, 사라지고, 이 빌딩이 세워지며 이 길의 운명이 경제의 중심으로 뒤바뀐다. 게다가 민음사가 들어오고, 같은 건물에 사슴이란 다방이 생기면서 지식인들의 집합지가 되기도 한다. 지금에야 낡은 상업지구와 기업의 일시적 공간으로 사용 중이다. 혹은 공연을 보고, 인사동을 다녀 […]
-
한국이 싫어서
목동힙스터의 골목 관찰기
-
서울을 톺아보기 위한 자료들의 목록
입문서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전 5권)>, 한울 전우용, 2008, <서울은 깊다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돌베게 강수연 외, 2003, <서울생활의 발견>, 현실문화 : 실린 도록이 볼만 함. 청계천과 동대문 개발 관한 내용도 참조할만 함. 강수미, 2003, <서울생활의 재발견>, 현실문화 가와무라 미나토, 요시카와 나기 역, 2004, <한양 경성 서울을 걷다>, 다인아트 이장희, 2013, […]
-
서울-문학 소개
__에게, #1 “시대별로 상징적인 한국 시인들의 계보”를 찾는다면, 문학사 가운데 시문학 분야에 해당하는 부분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김우창(2007)의 『궁핍한 시대의 시인』은 김우창의 평론집입니다. 시의 장소성과는 관련이 없지만, 한용운, 김수영, 신동엽, 정현종 등 주로 일컬어지는 시인의 시에 대한 읽어볼만한 평들이 있습니다. 또한 김준오(2009, 『현대시와 장르 비평』, 문학과지성사)의 「제1부 현대 시사와 장르 비평」를 읽어보면 도움이 되려나요. 구입하지는 마시고, […]
-
“어느 날의 서울”과 답사
ㄱ. “어느 날의 서울” 구성 역사사회학/사회사 전공자인 소준철과 사회학 전공자인 장대환과 도시공학 전공자인 황호연이 서울에 대한 역사적인 이해가 필요하다며 연구모임 구성에 관한 논의를 했음. 특히, 연구자 지망생으로써 현장을 알지 못하고 책을 읽는 것만으로 공간에 대한 이해가 가능한지에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서울의 각 지역에 대한 현장답사를 하기로 결정했음. 연구모임 구성을 결정한 후, 연구자가 아니더라도 답사를 통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