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0년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 경향신문, 경향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책’ 열 권, 2020년 12월 25일.
- 동아일보,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들이 꼽은 ‘내년에 꼭 읽을 책’, 2020년 12월 26일.
– 경향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책’ 열 권, “가난의 문법” – 도시백과도감 프로젝, 웹홍보 체계 – 열 권의 책 – 0113-0121 해외에 있습니다 – 환경 구축과 비용 절감 – 인문사회과학 연구에 도움이 될 국내 DB 목록 – 어쩌면 역사는 자기계발서일지도 모른다 – [노트] 장강명의 ‘표백’읽기 – 마구잡이 노트 – 아리스토텔레스의 여가 – “기발한 기사 라 만차의 돈 끼호데” 2권 74장 가운데 – 작가란. – 최인훈, “회색인”(1977) 가운데 – 시인의 목소리 – 김윤식, 김현 추도 – 굳이 구직하는 중입니다[2018/11/26] – 요사이 하는 일들[2018/5/23 기준] – 나는 공부하는 사람이에요. 내가 하는 공부를 봐주세요, 편견 말고요. – 그와 나: 내가 이곳에 남은 이유 – 커트 보네거트가 말하는 단편 소설을 쓸 때 필요한 여덟가지 규칙 – 식물도감: 시적 증거와 플로라 (-3/19) – 명함을 마련했습니다 – 프로젝트 그룹 3. “박사포차” – 어쩌다 뉴욕에, 그 첫날 – 크리스마스 인사와 2017년의 계획 – 새벽 다섯시, 소리 – 작업과 나와 생계 – 동종업자 찾기 – 나는 원숭이 떼 사는 숲에서 산다 – 4.16 – 아주 오랜만에 하루키의 소설을 읽을까 한다 – 글러먹은 사람 – 역사교과서 국정화 반대 성명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재학생·수료생·졸업생 129인) – [관찰기] 츠루하시 어슬렁거리기 – 쥐 – 한큐 고서거리(阪急 古書のまち) 1 – 2016/01/21 – 1월 중간보고 – 오사카로 공간 이동 – 01/04-02/27 이동 반경 추적 – 2016년 1월 뉴스 – 2016년의 연구 계획 – 내가 만약 뮤지션이라면 – 읽어볼만한 연재 – 단, 3분 – 2015, 한국
신비한 문서나라 (4)
– (지루하고 힘빠지는) 아카이브즈 이용기
– 신기한 (공)문서나라
– 역사 연구 관련 DB 목록
– 아카이브즈 이용기
도시서울에 관한 여러가지 (12)
– 친구들을 위한 세운상가 관련 서울기록원 공개 문건의 의미와 ‘위치’ 설명 혹은 추정
– [서평] 또 하나의 빈자리를 보라
– [서평] 기록과 ‘소설들’을 포개어 서울을 다시 읽기
– [서평] ‘강남화’라는 방법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 「대도시와 정신적 삶」
– [노트] 전쟁기의 일상생활 소고(小考): 박완서의 소설을 중심으로 (2015)
– 서울-문학 소개
– 서울을 톺아보기 위한 자료들의 목록
– “어느 날의 서울”과 답사
– [관찰기] 한국이 싫어서
– [관찰기] 1시 서울역 앞 풍경
– [관찰기] 어느 날의 서울, 충무로에서 종로2가까지
인민의 생활에 관하여 (9)
– [기고] 가난을 선별하지 말라
– 형제복지원의 공간 변화에 대한 짧은 소설적 상상
– [연구] “정부의 ‘자활정책’과 형제복지원 내 사업의 변화”
– 베버 “금욕적 프로테스탄티즘의 직업윤리” 발췌
– “대지를 보라”
– [기고] 다르지만 낯설지 않은 한 여성의 어떤 삶
– [기고] 또 하나의 빈자리를 보라
– [노트] 1963년, 학생 서클의 시장상인 대상 정치 관련 여론조사
– 구술사 자료집 혹은 총서류 목록
도시노인과 가난 (14)
– 복지정책, 이렇게 바뀌었으면 좋겠다.
–“왜 윤영자는 사투리를 쓰는가, 표준어를 쓰지 않는가”에 대하여
– [단행본] 가난의 문법
– [인터뷰] “국가는 ‘자격으로서의 가난’에만 관심이 있다”
– [인터뷰] 가난한 노인에게 야광조끼만 주는 사회
– [단행본] 책이 곧 나옵니다.
– [발표] 재활용품수집 노인의 현황과 제도적 지원을 위한 고려사항
– [기고] 재활용품수집 노인들에 대한 연구노트
– [연구보고서] 소준철·이민재, 『빈곤한 도시노인과 지역 내 자원의 흐름』(서울연구원, 2016: 공동연구)
– [기고] 폐지줍는 일을 하는 노인들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할까?
– 노인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마음
– [연구보고서] 소준철·서종건,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일과 삶』, (서울연구원, 2015: 공동연구)
– 도시노인의 지역 내 자원의 흐름과 이용
– 폐지수집 여성노인의 일과 삶, 밝히지 않은 노트
쓰레기와 쓰레기처리 (6)
– 소득에 따라 쓰레기 배출량은 어떻게 다를까요?
– 1983년 난지도 풍경
– 재활용과 쓰레기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 해방 후 오물의 처리: 비료화, 병인화, 하수처리화
– 통치성(Governmentality)에 관하여
– 이유, “소각의 여왕”(2015)
2020/2 재활용과 쓰레기에 대한 몇 가지 이야기
2019/11 보행 안전, 노천까페는 좋아요. 그렇지만 쓰레기 떠넘기기 .
2019/4 폐기물/쓰레기 발생량을 줄이자
2019/3 도시에서 대학은 어떤 존재인가? 일자리 양성소? 혹은 교육/연구기관?
2018/12 인천의 사일로 미관사업, 부디 실속 있는 이미지를 고민해달라
2018/11 완벽한 순간(들)을 기리며
2018/10 아파트에 산다는 꿈이 남긴 건 무어지? 돈 혹은 서글픔은 아닌가.
2018/8 문화사업, 흉내내기와 사례 진열장에 불과한 건 아닌가?
2018/7 드론, 가능성과 불안함
2018/5 장위동, “사람 살고 있음”
2018/2 누구를 위하여 우리는 허세와 은폐와 미화를 용인해야 하는가?
2017/12 쓰레기를 줄일 방법을 고민하자
2017/11 응답않는 방과 고독사
2017/9 사람 잃은 집, 도시의 빈집
2017/8 ‘성매매’라는 복마전을 틀어막는 건 ‘사람 사는 일’이라는 이해가 아닐까
2017/7 욜로와 도시
2017/6 우체부 구보씨의 일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