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푸른숲, 2020년 11월 30일, 1쇄 펴냄.
_______, 2020년 12월 21일, 2쇄 펴냄.
_______, 2020년 12월 22일, 3쇄 펴냄.
_______, 2021년 1월 7일, 4쇄 펴냄.
_______, 2021년 2월 17일, 5쇄 펴냄.
Facebook Page 도시백과도감
Instagram 도시백과도감
책 소개
“한국사회에서 가난의 모습은 늘 변해왔다. 전쟁이 끝난 후 갈 곳 없는 고아의 모습에서, 텔레비전 드라마에 나온 달동네의 모습과 IMF 위기 이후 노숙인의 모습을 거쳐 리어카를 끄는 사람들(특히 노인들)의 모습으로. 가난의 모습은 늘 바뀔 것이다. 다음에 올 ‘가난’이 어떤 모습인지 그 누구도 알지 못한다(9쪽).”
“이제 가난의 문법이 바뀌었다. 도시의 가난이란 설비도 갖춰지지 않은 누추한 거주지나 길 위에서 잠드는 비루한 외양의 사람들로만 비추어지지 않는다. 어느 날 강서구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작은 골목을 지나는데, 1km가 채 안 되는 거리에서 모두 다른 편인, 재활용품 줍는 노인 무리를 보았다. 물론 그들이 함께 다니는 건 아니었다. 그들은 경쟁 중이었고 갈림길에 다다르자 뿔뿔이 흩어졌다. 그때엔 몰랐지만, 고물은 먼저 발견한 사람의 차지가 되니까 남의 뒤를 따를 필요가 없었던 것이다. (중략) 노인들에게 가난은 경쟁을 통해 드러난다. 이들은 경쟁 속에서 팔 만한 재활용품을 획득해 생계를 꾸렸다(28쪽).”
- 한국출판문화산업진흥원 2020년 우수출판콘텐츠 선정작
- 경향신문, 경향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책’ 열 권, 2020년 12월 25일.
- 동아일보,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들이 꼽은 ‘내년에 꼭 읽을 책’, 2020년 12월 26일.
- 주간경향, 국가는 ‘자격으로서의 가난’에만 관심이 있다, 2020년 1월 6일.
“진짜 경제적으로 어려운 분들이 스스로 가난하다고 말하는 순간은 공무원 앞에서에요. 가난의 상태를 개선하든, 유지하든 도구나 자격으로 이해하거든요. 사회가 그걸 요구하니까. 자격이 되어야 복지를 해준다. 그래서 현실에서의 진짜 가난과 자격으로서의 가난은 다른 것 같아요.” - 경향신문, ‘45년생 윤영자’는 어쩌다 폐지 줍는 노인이 됐나…‘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1일 추천.
“소설 <82년생 김지영>이 서사에 통계자료와 각주를 더해 질적 연구에 입각한 사회과학연구서를 떠올리게 했다면, <가난의 문법>은 사회과학연구에 서사를 병치해 도시 말단의 ‘가난’에 돋보기를 들이댄다. … 1945년생 윤영자는 실존 인물은 아니다.” - 한겨레, 45년생 윤영자는 왜 폐지를 줍나, 2020년 12월 11일 추천.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들로 빼곡한 책이다. 책에서 땀 냄새가 훅 끼칠 정도로 현장감이 느껴진다는 점은 큰 미덕이다.” - 서울신문, 폐품 손수레 끄는 할머니들, 사회가 빚은 고단함, 2020년 12월 11월 추천.
“소설이 아닌, 저자 2015~2019년 벌인 현장 조사를 토대로 쓴 사회비평서라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 한국일보, 가난한 노인은 왜 폐지를 주워야만 하는가?, 2020년 12월 4일 추천.
“한 발짝 떨어져 그저 ‘안타까운 시선’으로 바라보기엔 우리 모두가 여기에 개입된 존재이기에, 변화는 바로 우리의 몫이다.” - 교수신문, 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1일.
“소준철은 ‘폐지 줍는 도시의 여성노인’을 주인공 삼아 사회와 제도 사이의 빈틈에서 연구를 이어나간다.” - 여성신문, 그 할머니들이 폐지를 줍게 된 이유, 2020년 12월 15일.
“가난하게 산다는 것, 그리고 늙어간다는 것. 우리가 마주하지 않으려 하는 이 두 가지 두려운 현실에 관해 … 분석을 해낸다.” - [신문] 오마이뉴스, 눈 오는 밤, 비닐 챙겨 집 나서는 노인들, 2021년 1월 15일.
“그는 책의 서두에서 “한 개인의 삶은 국가, 산업, 심지어는 같은 동네 주민인 우리들의 영향을 받아 이뤄지는 것임을 우선 염두에 두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책의 마지막 장을 덮을 즈음이면, 위 문장이 새삼스레 다시 떠오른다. 해결의 주체는 국가뿐만이 아니다.” - JTBC, 도시 속 가난의 모습은…사회 비추는 신간 도서 소개|아침& 라이프, 2021년 1월 18일.
- KBS, [새로 나온 책] 실종된 나치 미술품을 찾아라 ‘히틀러의 사라진 보물’ 외, 2020년 12월 14일.
- 알라딘, 편집장의 선택 “가난의 이유를 새로 써야 하는 이유”, 2020년 12월 8일.
“이 ‘가난의 문법’은 사회 구성원 모두의 것이며, 비단 오늘날에만 적용되는 게 아니라 그간의 모든 ‘가난의 문법’을 되짚어보게 한다는 점에서 더욱 유효하다.”
책을 만날 수 있는 곳
알라딘 교보문고 다음책 네이버책
소장 도서관 (국가자료종합목록) 소장 대학도서관(RISS)
추천과 평
새로운 미디어 (7)
[웹진] 월간 윤종신, 한 달에 두 권, 2020년 12월.
[웹진] 아트 인사이트, 우연하지만 필연적인 구조, 2020년 12월 26일.
[팟캐스트] 책읽아웃 – 김하나의 측면돌파, 168회 삼천포책방, 2021년 1월 7일.
[팟캐스트] 참여연대 책사이다, 77화 1월 1일 나의 일기, 2021년 1월 7일.
[팟캐스트] 애매-한 언니들, 95화 단편적인 큐레이션, 2020년 12월 25일.
[YouTube] 편집자K, 12월엔 이 책! 대신 골라드림, 2020년 12월 6일.
[뉴스레터] 에그브렉 12월 1주 (흥미로운 신간 1위)
서점 (9)
[서점] 풀무질, 자본주의 10선, 2021년 1월 14일.
[서점] 땡스북스, [땡스, 페이퍼!] no. 310 가난의 문법, 2021년 1월 10일.
[서점] YES24, 인문교양 1월의 책, 2021년 1월.
[서점] 교보문고, 이달의 신간, 2021년 1월.
[서점] 레드북스, 12월, 레드북스에서 고른 이달의 추천도서 35종, 2020년 12월 29일.
[서점] 서점, 리스본, 2020년 12월 15일.
[서점] 알라딘, 편집장의 선택 “가난의 이유를 새로 써야 하는 이유“, 2020년 12월 8일.
[서점] (구미) 삼일문고, 이주의 삼일문고 주목 신작 2020년 12월 셋째주, 2020년 12월 19일.
[서점] 교보문고, 오늘의 책, 2020년 12월 11일.
단독 소개 (17)
[잡지] 비즈한국, [이주의 책] 폐지 줍는 노인 위한 나라는 없다 ‘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31일.
[잡지] 북매거진 나비, [신간 제1장 공개] 자립과 자구라는 주문, 끝나지 않는 ‘노오력’, 2020년 12월 31일.
[라디오] KBS 한민족방송, 문화 공감, 2021년 1월 17일.
[라디오] KBS 1FM, 주말생방송정보쇼 <박태근의 책 있슈>, 2020년 12월 19일.
[신문] 오마이뉴스, 눈 오는 밤, 비닐 챙겨 집 나서는 노인들, 2021년 1월 15일.
[신문] 피디저널, 노인을 위한 도시는 없다, 2021년 1월 11일.
[신문] 지데일리, ‘남의 일이 아닌’ 남의 일을 이야기하다, 2020년 12월 23일.
[신문] The Korea Times, Review: Book redefines Korea’s urban poor, 2020년 12월 19일.
[신문] 투데이신문, 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7일.
[신문] 동아일보, [바람개비] 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6일.
[신문] 여성신문, 그 할머니들이 폐지를 줍게 된 이유, 2020년 12월 15일.
[신문] 충남일보, [오늘의 책] 도시에서 가난한 노인으로 늙는다는 것, 2020년 12월 13일.
[신문] 경향신문, ‘45년생 윤영자’는 어쩌다 폐지 줍는 노인이 됐나…‘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1일.
[신문] 교수신문, 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1일.
[신문] 한겨레, 45년생 윤영자는 왜 폐지를 줍나, 2020년 12월 11일.
[신문] 서울신문, 폐품 손수레 끄는 할머니들, 사회가 빚은 고단함, 2020년 12월 11일.
[신문] 한국일보, **가난한 노인은 왜 폐지를 주워야만 하는가?,** 2020년 12월 4일.
대담과 인터뷰(4)
[팟캐스트] 듣다보면 똑똑해지는 라이프, 도시 여성 빈곤 노인을 생각하다, 2021년 1월 19일.
[잡지] 주간경향, 국가는 ‘자격으로서의 가난’에만 관심이 있다, 2020년 1월 6일.
[잡지] 시사IN, 가난한 노인에게 야광조끼만 주는 사회, 2020년 12월 26일(694호).
[라디오] 국악방송, 문화시대 김경란입니다, 2020년 12월 22일.
함께 소개 (20)
[TV] JTBC, 도시 속 가난의 모습은…사회 비추는 신간 도서 소개|아침& 라이프, 2021년 1월 18일.
[TV] KBS, [새로 나온 책] 실종된 나치 미술품을 찾아라 ‘히틀러의 사라진 보물’ 외, 2020년 12월 14일.
[잡지] 빅이슈코리아, 놓치면 후회하는 이달의 책 추천 3권, 2021년 1월 10일.
[신문] 농민신문, [생각의 숲] 고독 깊은 곳, 2021년 1월 15일.
[신문] 동아일보, **서울리뷰오브북스 편집위원들이 꼽은 ‘내년에 꼭 읽을 책’**, 2020년 12월 26일.
[신문] 경향신문, 경향신문이 선정한 ‘올해의 책’ 열 권, 2020년 12월 25일.
[신문] 더스쿠프, [Weekly BOOK Review] 법은 어떻게 날 보호할까, 2020년 12월 21일.
[신문] 여성신문, [주간 책타래] 『베이비 팜』 外, 2020년 12월 15일.
[신문] 매일경제, 발로 뛰며 쓰는 르포 논픽션이 뜬다, 2020년 12월 13일.
[신문] 이데일리, [김유성의 금융CAST]韓 사회에서 악몽이 된 장수(長壽), 2020년 12월 12일.
[신문] 세계일보, [새로 나온 책] 광기와 우연의 역사 외, 2020년 12월 12일.
[신문] 한겨레, 당신에게 다가가도록 도와주는 것, 2020년 12월 11일.
[신문] 문화일보, <이 책>’택리지 평설’ 등, 2020년 12월 11일.
[신문] 해럴드경제, [한눈에 읽는 신간]살 만한 땅을 찾아 ‘택리지 평설’외, 2020년 12월 11일.
[신문] 매일경제신문, [신간] 문밖의 사람들·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0일.
[신문] 한국경제, [신간] 문밖의 사람들·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0일.
[신문] 연합뉴스, [신간] 문밖의 사람들·가난의 문법, 2020년 12월 10일.
[신문] 메트로신문, [새로나온 책] AI 시대, 본능의 미래 外, 2020년 12월 6일.
[신문] 뉴스토마토, (볼 만한 새 책)’염소 4만원’·’그 좋았던 시간에’ 외, 2020년 12월 2일.
[포럼] 인문 360 인간과 기술, 2회차 포럼 ‘사회학자 오찬호의 추천도서’, 2020년 12월 29일.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