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인훈, “회색인”(1977) 가운데 2016-04-232018-04-06 Junchol Kim So님이 작성 “한국의 문학에는 신화가 없어. … 주민과 풍토에서 떨어진 신화는 다만 철학일 뿐 신화는 아니여. 신화는 인간과 풍토가, 시간과 공간이 빚어낸 영혼의 성감대지. … 그렇다고 우리는 돌아갈 만한 전통도 없다. 아니, 있기는 하다. 그러나 그 전통은 자칫 우리들의 헤어날 수 없는 함정이기 십상이다.” – 최인훈, <회색인>(1977): 16-17쪽 이 글 공유하기:Facebook트위터전자우편인쇄Telegram이것이 좋아요:좋아하기 가져오는 중... Junchol Kim So 도시 연구자, 서울을 살피고 있습니다. 관련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여기에 댓글을 입력하세요...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이메일 (필수)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이름 (필수) 웹사이트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 로그아웃 / 변경 ) Google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 로그아웃 / 변경 ) 취소 %s에 연결하는 중 후속 댓글을 이메일로 알립니다. 새 글이 올라오면 전자 우편으로 알림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