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을 톺아보기 위한 자료들의 목록

입문서

  • 손정목, 2003, <서울 도시계획 이야기(전 5권)>, 한울
  • 전우용, 2008, <서울은 깊다 : 서울의 시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탐사>, 돌베게
  • 강수연 외, 2003, <서울생활의 발견>, 현실문화  : 실린 도록이 볼만 함. 청계천과 동대문 개발 관한 내용도 참조할만 함.
  • 강수미, 2003, <서울생활의 재발견>, 현실문화
  • 가와무라 미나토, 요시카와 나기 역, 2004, <한양 경성 서울을 걷다>, 다인아트
  • 이장희, 2013, <서울의 시간을 그리다>, 지식노마드
  • 조한, 2013, <서울, 공간의 기억 기억의 공간>, 돌베개
  • 박해천 외, 2014, <세 도시 이야기>, G&Press
  • 염복규, 2005, <서울은 어떻게 계획되었는가>, 살림
  • 김경민, 박재민, 2013, <리씽킹 서울>, 서해문집
  • 임동근, 오성훈, 2014, <지도로 보는 수도권 신도시계획 50년 1961-2010>, auri(건축도시공간연구소)
  • 임동근, 김종배, 2015, <메트로폴리스 서울의 탄생>, 반비
  • 류동민, 2014, <서울은 어떻게 작동하는가>, 코난북스
  • 김경민, 2011, <도시개발 길을 잃다>, 시공사
  • 조은, 2012, <사당동 더하기 25- 가난에 대한 스물다섯 해의 기록>, 또하나의문화

식민지기

  • 김백영, 2009, <지배와 공간 : 식민지 도시 경성과 제국 일본>, 문학과지성사 : 2-3부
  • <경성부사> * 참고: 김백영의 해제, 오늘의 도서관
    (-> 링크: http://www.nl.go.kr/upload/nl/publish/201311/book-data/6.pdf )\
  • 서울특별시, 2015 <국역 경성부사> 1~3권, 휴먼컬처아리랑

기타 참고 자료

  • Benjamin, Walter의 저작들
  • Lefebvre, Henry 저작들
  • 이효덕, 2002,  <표상공간의 근대>, 소명출판
  • 박천홍, 2003, <매혹의 질주, 근대의 횡단 – 철도로 돌아본 근대 풍경>, 산처럼
  • 줄레조, 발레리, 2007, <아파트 공화국>, 후마니타스
  • 박해천, 2011, <콘크리트 유토피아>, 자음과모음
  • 정진열, 김형재, 2011, <이면의 도시>, 자음과모음
  • 제인 제이콥스 지음, 유강은 역, 2010, <미국 대도시의 죽음과 삶>, 그린비
  • 로버트 D. 퍼트넘, 정승현 역, 2009, <나 홀로 볼링>, 페이퍼로드
  • 스피로 코스토프, 양윤재, 2011, <역사로 본 도시의 형태>, 공간사
  • 이인규, 2013, <안녕, 둔촌주공아파트>

특정 주제별 참고 자료 

[조선신궁 ]
– 국성하, 2004; 김백영, 2009; 김철수, 2010; 안종철, 2010; 김수진, 2011; 윤선자, 2011 + 김백영 2007 [연구 논문]

[남산]
– 한겨레 기획연재 “돌아온 산, 남산”
http://h21.hani.co.kr/arti/SERIES/45/?cline=1
– 인권센터 사람 
http://namsan.hrcenter.or.kr
– 최석로, 조풍연, <사진으로 보는 우리 문화와 역사>, 서문당
– 김대호, 2015, <20세기 남산 회현 자락의 변형, 시각적 지배와 기억의 전쟁 : 공원, 신사, 동상의 건립을 중심으로>, 도시연구 13
– 김수진, 2011, <조선신궁 기념 사진집 : 『恩賴-朝鮮神宮御鎭座十周年記念』 해제>, 근대서지 3
– 김수진, 2011, <식민 권력의 자기 기념과 시각적 선전 : 조선신궁기념사진집 『은뢰(恩賴)』를 중심으로>, 사회와역사, 89
– 문혜진, 2013, <일제식민지기 경성부 신사 – 신사 및 제신의 시기별 성격을 중심으로>, 정신문화연구 36-3
– 김백영, 2010, <식민권력과 광장공간 : 일제하 서울시내 광장의 형성과 활용>, 사회역사 90
– 김백영, 2009, <식민지 동화주의의 공간정치 – 조선신궁의 건설과 활용을 중심으로>, 인천학연구 11
– 이수연, 황희준, 2011, <190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남산공원의 공간적 특성과 의미 변화에 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79
– 박은숙, 2008, <개항 후 서울 도시 공간의 재편과 성곽 철거>, 내일을 여는 역사 33
– 전규찬, 2014, <남산, 숨겨진 살인과 범죄의 공간: 죽어서 말하는 아이러니>, 언론과 사회 22-4

[명동과 종로]
– 김진송,1999, <서울에 딴스홀을 허하라>, 현실문화연구 [식민지기] <- 명동과 종로
– 김미선, 2012, <명동아가씨 : 근현대 여성공간의 탄생>, 마음산책  [해방 후]
– 신명직, 2003, <모던 뽀이, 경성을 거닐다>, 현실문화연구
– 박윤석, 2014, <경성 모던타임스>, 문학동네
– 소래섭, 2005, <에로, 그로, 넌센스>, 살림지식총서 154

[청계천]
– 최협, 2012, <판자촌 일기 : 청계천 40년 전>, 눈빛 [해방 후]

[정부 및 공기관 간행물]
<서울시사>, 서울시사편찬위원회  (-> 링크: http://historylib.seoul.go.kr )

문학

  • 박태원 소설 <구보씨의 일일>, <천변풍경> [식민지기]
  • 염상섭 소설  <만세전> , <삼대>, <효풍>, <취우>, <임종> [식민지기]
  • 이상 소설 [식민지기]
  • 최인훈 소설  <구보씨의 일일> [해방 후, 60년대]
  • 김승옥 소설 <서울 1964년 서울> [해방 후, 60년대]
  • 박완서 소설들 [식민지기~90년대]
  • 신경숙 소설 <외딴 방> [해방 후, 80년대]

영상

기타 

WordPress.com 제공.

%d 블로거가 이것을 좋아합니다: